분류 전체보기 2612

[스타] 제니퍼 로렌스 Jennifer Lawrence: 영화데이터

[스타] 제니퍼 로렌스 Jennifer Lawrence: 영화데이터 [스타] 제니퍼 로렌스 Jennifer Lawrence: 영화데이터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1990년 미국 켄터키 출신으로 헐리우드에 혜성처럼 나타난 연기력 최강이면서 너무나 솔직한 주관과 의견을 가진 여배우이지요. 2011년 에 으로 출연하고, 2012년 주연으로 으로 캐스팅되면서, 헐리우드 여배우 중에서 출연료 Top5 에 드는 기염을 토합니다. 2012년 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22세 나이에 받게되면서, 언론과 팬들에게서 엄청난 인기와 관심을 받게 되는데, 너무 어린 나이에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안좋은 영향도 있는 듯 합니다. 2016년 이후로 영화활동은 저조한 편이고 결혼과 출산을 하게 되었고, 앞으로 활동이 더욱 기대되..

콘텐츠 리뷰 2022.10.15

[모바일] 애플 모바일 미래전략, 아시아가 승부처

[모바일] 애플 모바일 미래전략, 아시아가 승부처 [모바일] 애플 모바일 미래전략, 아시아가 승부처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애플 매출은 하드웨어 84% 및 서비스 16% 비중으로 추후 서비스는 2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그럼, 애플 미래전략은 어떻게 될까요? 우선 애플의 사업현황과 미국시장 데이터로 시사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애플 모바일 미래전략 시나리오 시사점 1) 아이폰의 스마트폰 미국시장 독점 미국기준 아이폰은 2021 Q1 57% -> 2022 Q1 62% 시장점유로 2-3년 내 70-80% 독점 예상 되며, 안드로이드는 삼성 및 중국 브랜드가 니치마켓 또는 저가폰로만 존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시사점 2) 아이폰, 애플의 미래 좌우 애플 매출의 58%가 아이폰 이고, 12%가 ..

경영 지식 2022.10.14

LG전자의 미래 전략: 가전 1위, 월풀 포지션 유력**

LG전자의 미래 전략: 가전 1위, 월풀 포지션 유력** LG전자의 미래 전략:  LG전자는 국내 4위 대기업집단이면서, 삼성전자보다 10년 앞선 창업으로 한국인에게는 한국 전자업계의 원조로 포지셔닝되지요. 심지어, LG전자는 가전제품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미국 전통의 가전업체인, Whirlpool, GE, Meytag 등을 제압하고,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있네요. 현재, 미국 가전시장은 삼성과 LG 의 파상공세에 기존 강자이었던 GE, Whirlpook, Maytag은 경쟁상대가 되지 않는 듯 합니다. 그럼, LG전자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개인적으로 제2의 Whirlpool/Maytag 이 되리라 전망합니다. 즉, 가전제품만을 가진 Whirlpool 및 Maytag 처럼, 앞으로 5-10년 비즈니스를 ..

경영 지식 2022.10.12

[미국지식] 미국 카운티 인구밀도: 뉴욕 맨해튼 1위, 강남구 2배

[미국지식] 미국 카운티 인구밀도: 뉴욕 맨해튼 1위, 강남구 2배 [미국지식] 미국 카운티 인구밀도: 뉴욕 맨해튼 1위, 강남구 2배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미국 인구밀도는 카운티별 랭킹으로 정리해 보았네요. 절대적 1위는 맨해튼이 포함된 뉴욕카운티 이고, 그 외로 샌프란시스코카운티, 허드슨카운티, 서폭카운티, 필라델피아카운티 순위 이네요. 인구밀도 카운티 Top5: 뉴욕 > 샌프란시스코 > 허드슨 > 서포크 > 필라델피아 맨해튼 포함 뉴욕카운티는 기준 26,822명/km2 인데, 한국 서울시 강남구가 13,778명/km2 으로 거의 2배가 높네요. 그래도, 뉴욕카운티 이외로는 다른 2-5위는 강남구의 절반 이하입니다. 한국의 인구밀도를 구 단위로 정리하면, 강남구가 28위이고, 1위는 서울시 양..

미주/미국 2022.10.12

[전략] 네이버 미래전략

[전략] 네이버 미래전략 한국포털 대명사 네이버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개인적으로 야후와 비슷한 시나리오라고 생각되는데, 한국 인터넷시장이 갈라파고스 현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결국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포털 1위는 유지하겠으나, 그 이후에는 아무 것도 아닐 것이라 예측됩니다. 즉, 네이버가 현재 한국 인터넷포털 1위로 압도적인 매출과 이익을 올리고 있지만, 그 이후에 사업확장이 가능할까요? 1) 인터넷포털 해외시장 경쟁력 부족 해외시장 대상으로 인터넷포털 사업 가능성을 있는데, 대상 국가가 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이고, 문제는 해당 시장의 언어, 문화 및 인프라 기반에 대한 경쟁력이 없다는 것 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현지투자를 하거나 진입준비를 하면 가능할까요? 글쎄요,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되..

경영 지식 2022.10.11

[분석] 한국 코비드: 누적확진자 49% 세계2위 (2022년 10월 기준)

한국 코비드: 누적확진자 49% 세계2위 (2022년 10월 기준) 한국 코비드 현황은 2022년 봄에 미국 및 유럽의 하루 확진자의 몇배를 기록하면 폭증하였지요. 그리고, 얼마전 하루 확진자가 이제 1만명 이하가 되고 있다는 기사가 보여서, 누적 확진자를 확인해 보았지요. 2022년 10월10일 기준, 누적확진자는 인구 대비 49%로 세계 2위이네요. 즉, 누적확진자는 24,979,770 명이고, 총인구는 51,369,139 명 이지요. 누적확진자 세계 1위는 프랑스 55% 프랑스, 공동2위 한국 49%, 네델란드 49%, 4위 독일 40%, 5위 호주 39% 이고, 공동7위 미국 29% 입니다. 추가로, 백만명 기준 검사횟수는 누적확진자 Top20 국가에서 하위권에 위치하네요. 최초 코비드 발병 이후..

아시아/한국 2022.10.11

[전략] 빅테크 매출분석: GAAM (Google/ Amazon/ Apple/ Microsoft)

[전략] 빅테크 매출분석: GAAM (Google/ Amazon/ Apple/ Microsoft) [전략] 빅테크 매출분석: GAAM (Google/ Amazon/ Apple/ Microsoft)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미국 IT업계 4강은 GAAM: 구글,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데, 앞으로 10년 이상 독점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 GAAM = Google/ Amazon/ Apple/ Microsoft 2022년 기준 빅테크 매출 및 수익 분석자료가 인포그래픽으로 정리되어, 한눈에 보기가 쉽네요. 1. 구글 매출 및 수익 (2022년 6월 분기별) 구글 매출은 1) 검색광고, 2) 유튜브, 3) 구글 모바일광고, 4) 구글플레이, 5) 구글클라우드 로 구성 되고, 총매출 69..

경영 지식 2022.10.11

[전략] 카카오 미래전략?

카카오 미래전략? 2010년 등장한 카카오는 단숨에 대한민국 대표 ' 국민메신저 ' 로 등극하여, 현재는 카카오그룹으로 성장하였지요. 현재 국내 및 해외 계열사가 194개로 어느 대기업그룹보다 많은 상황입니다. 개별계열사가 상장에 성공하여, 계열사 평균 10조 자산가치을 인정받으면, 1904조 가 되는 것이고, 현재 삼성그룹이 480조이므로, 삼성그룹 대비 4배 이상 자산을 보유하는 시나리오도 꿈같지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카카오 미래전략은 4개 전략이 가능하다고 보여지네요. 전략1) Profit Model or Monetization Model 확대 메신저 플랫폼비즈니스는 기본적으로 매출/이익을 만들기가 힘들기도 하고 한계가 있지요. 중국 위챗, 일본 라인 및 미국 왓츠앱 모두 수익모델이 부족한데, 콘..

경영 지식 2022.10.10

미국 바이든 대통령, 대중국 첨단반도체 통제 (2022년 10월)

미국 바이든 대통령, 대중국 첨단반도체 통제 (2022년 10월) 2022년 10월 미국 바이든대통령은 중국 전체에 대한 첨단반도체 수출통제 지침을 발표하였지요. 미국 바이든 대통령, 대중국 첨단반도체 통제 (2022년 10월) 대상은 첨단반도체 장비 및 첨단반도체칩으로 규정하여, 상당히 제한적이지만, 실제로는 첨단분야는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중국의 반도체 기술발전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 중국 반도체 산업전반을 목표로 주요 28개 중국 반도체 업체/기관을 대상으로 첨단 반도체장비/반도체칩셋을 차단해서 발생되는 영향도를 2020년 화웨이 제제와 비교해서 추정해보고자 합니다.    화웨이: 2021년 매출 30% 감소 화웨이는 2020년 반도체제재가 시작되고, 바로 1년뒤 2..

미주/미국 2022.10.10

[경영전략] 2022년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4위 LG, 15위 카카오

[경영전략] 2022년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4위 LG, 15위 카카오 2022년 대기업 순위: 1위 삼성, 4위 LG, 15위 카카오 2022년 기준 12년만에 2위로 에스케이가 올라서고, 현대자동차가 3위로 바뀌게 되었네요.에스케이는 반도체 사업확대 및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SK이노베이션 매출확대가 주로 자산증가가 생겼지요. 현재 한국에는 자산기준 10조이상 기업집단 47개 및 5조이상 76개인데, 수년간 거의 변화가 없고, 오히려 삼성 에스케이의 자산증가가 눈에 띄는 상황입니다. 총 76개 기업집단 기준으로 Top5 51% 및 Top10 66% 비중을 차지하네요. 이전부터 한국에 삼성같은 기업집단이 10개만 있으면, 바로 선진국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한국정부 및 정치권은 기업 육성 및..

경영 지식 2022.10.0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