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일본

한국과 일본의 직장 내 호칭: 직급, 존칭, 문화 차이 집중 비교**

S부장 in US 2025. 1. 31. 06:34

한국과 일본의 직장 내 호칭: 직급, 존칭, 문화 차이 집중 비교**

 

한국과 일본의 직장 내 호칭: 

 

한국과 일본의 직장 문화에서 **호칭 (titles)**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과 일본의 직장 내 호칭은 상하 관계를 반영하지만, 한국은 직급을 강조하는 문화이며, 일본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호칭 체계를 가진다. 한국에서는 직급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이름만 부르면 실례가 된다. 반면, 일본에서는 직급보다 **“~さん”**을 많이 사용하며, 상호 간에 보다 부드러운 표현을 선호한다.

 

1. 관리, 일반 직군의 직급체계 비교

 

한국과 일본의 기업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직급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직급 체제도 일본 식민시대에서 유래된 기업과 회사 체계가 한국 대기업과 공공기관에 적용되었던 관계로, 의외로 비슷하거나 유사한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보지 못한 일본 직급 명칭으로는 취체역 한자를 사용하는 取締役 도리시마리야쿠 인데, 주로 사장, 임원이나 팀장 레벨에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앞쪽에 담당 업무나 팀 명칭을 같이 적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국 Korea 일본 Japan 미국 USA
사원 (Employee) 社員 (しゃいん, shain) Employee
대리 (Assistant Manager) 係長 (かかりちょう, kakarichō) Assistant Manager
계장 (Senior Staff) 係長 (かかりちょう, kakarichō) Senior Staff
과장 (Manager) 課長 (かちょう, kacho) Manager
차장 (Deputy General Manager) 次長 (じちょう, jicho) Deputy General Manager
부장 (Department Manager) 部長 (ぶちょう, buch0) Department Manager
이사 (Director) 取締役 (とりしまりやく, torishimariyaku) Director
상무 (Managing Director) 常務取締役 (じょうむとりしまりやく, jomu torishimariyaku) Managing Director
전무 (Senior Managing Director) 専務取締役 (せんむとりしまりやく, senmu torishimariyaku) Senior Managing Director
부사장 (Vice President) 副社長 (ふくしゃちょう, fukushacho) Vice President
사장 (President/CEO) 社長 (しゃちょう, shacho) President/CEO
회장 (Chairman) 会長 (かいちょう, kaicho) Chairman

 

2. 직급별 호칭 사용 방식

 

1) 한국에서의 직급 사용: 

 

한국에서는 사내에서 직급을 강조하는 문화가 강하다.

 

사원을 부를 때도 이름 뒤에 직급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김 대리님”, **“박 과장님”**과 같이 호칭한다.

 

상사를 부를 때는 반드시 **“님 (-nim)”**을 붙여서 존중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부장님”이라고 부르며, 단순히 “부장”이라고 하면 무례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오히려 직급이 높은 사람이 낮은 직급에게는 그대로 직급만으로 "김부장" 또는 "이부장"으로 부르게 됩니다.

 

사장이 직원들에게 직접 말할 때는 직급을 부르지 않고 이름을 부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직원들은 반드시 “사장님”이라고 호칭해야 한다.

 

한국어로는 주로 직급이 있는 경우, 직급만 부르지 못하고, "직급+님" 으로 호칭하는데, 한국에서는 어떤 호칭을 사용하더라도 "~+님"을 붙이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즉, 한국은 자신의 직급 기준으로 상대방의 직급 상하 관계에 따라 호칭이 달라지게 됩니다. 

 

2) 일본에서의 직급 사용

 

일본에서는 직급을 직접적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상사를 부를 때는 직급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さん (-san)”을 붙여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田中部長 (Tanaka-bucho)”처럼 성과 직급을 함께 사용하거나, 단순히 “田中さん (Tanaka-san)”이라고 부른다.

 

부장급 이상의 임원을 부를 때는 직급만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社長 (Shacho, 사장)” 혹은 “会長 (Kaicho, 회장)”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도 자신보다 직급이 낮은 경우에는 "~san" 이외에도, "~kun" 으로도 많이 부르게 됩니다.

 

 

일본 관리직 여성 근로자
일본 관리직 여성 근로자

 

 

3. 연구, 기술 직군의 직급체제 비교

 

연구 및 기술 개발 부서에서는 직급 체계가 다소 다르게 운영된다.

 

한국에서는 연구원이 일정 수준 이상의 경험을 쌓으면 “선임”, “책임”, “수석”과 같은 직급을 부여받게 되는데, 바로 관리, 일반 직군의 "대리", "과장", "부장" 에 해당하는 레벨이 됩니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체계가 있지만, 일반적인 기업보다는 연구소나 대학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연구원에게 직급을 사용하기보다는 이름 뒤에 “先生 (せんせい, sensei, 선생님)”을 붙여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 Korea 일본 Japan 미국 USA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主任研究員 (しゅにんけんきゅういん, shunin kenkyuin) Senior Researcher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上級研究員 (じょうきゅうけんきゅういん, jokyu kenkyuin) Principal Researcher
수석연구원 (Lead Researcher) 主任技師 (しゅにんぎし, shunin gishi) Lead Researcher
개발이사 (Director of Development) 開発取締役 (かいはつとりしまりやく, kaihatsu torishimariyaku) Director of Development

 

 

 

4. 상호 간의 호칭 차이

 

1) 한국의 특징

 

한국에서는 직급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호칭이 엄격하게 구분된다.

이름만 부르는 것은 무례하며, 반드시 직급과 함께 부르는 것이 기본이다.

 

나이가 많더라도 직급이 낮으면 직급에 따라 부른다. 예를 들어, 50세 직원이 대리이고, 30세 직원이 과장이라면, 서로 존경어를 사용해서, "~대리님" “~과장님” 으로 부르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직급을 강조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회의에서 발언할 때 **“김 부장님, 의견 부탁드립니다”**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메일이나 문서에서도 직급을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 대리님께” 또는 “○○ 부장님께”라고 쓴다.

 

2) 일본의 특징

 

일본에서는 직급을 사용하지 않고, **“~さん”**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課長 (Manager, 과장)**이라도 “鈴木さん (Suzuki-san)”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직급을 함께 사용하여 “鈴木課長 (Suzuki-kacho)”처럼 부른다.

 

일본에서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직급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덜 강조하며, 존경어(敬語)를 활용하여 정중하게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에서 이메일이나 문서에서는, 직급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며, “○○さん”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vs 일본 호칭 총정리: 가족, 친구, 직장에서 어떻게 부를까? **

한국 vs 일본 호칭 총정리: 가족, 친구, 직장에서 어떻게 부를까? ** 한국 호칭 vs 일본 호칭 한국과 일본은 모두 유교적 전통이 강한 사회로, **호칭 (titles)**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두 나

stephan-review.tistory.com

 

친척에 대한 호칭 총정리: 한국어-한자-영어**

친척에 대한 호칭 총정리: 한국어-한자-영어** [한국지식] 친척에 대한 호칭 총정리: 한국어-한자-영어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친척 호칭 총정리: 한국어-한자-영어 미국 이민온 이후에, 가

stephan-review.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