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tour 35

미국이민의 최초 랜딩에 대한 기준과 분석**

미국이민의 최초 랜딩에 대한 기준과 분석** 미국이민: 최초 랜딩 [미국일상] 미국이민: 어디로 갈까요?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2019년 8월 미국 이민을 오면서, 미국 랜딩을 어디로 할지 많은 고민을 했지요. 결국, 와이프 친척이 살고 있는 메릴랜드로 랜딩 했지만, 결국 1년 만에 뉴저지로 이사하게 되었네요. 이유는 뉴저지로 취업이 되어서, 메릴랜드-뉴저지 4시간 거리를 6개월 동안 주말마다 이동하다가, 가족들이 같이 있기 위해서 뉴저지로 이사했습니다.   미국이민을 하는 경우에, 랜딩 지역에 대해서 주요 선택기준이 다음 3가지 일 듯합니다. 기준 1: 지인이나 친구가 있는 곳기준 2: 자녀의 학교 및 학군이 좋은 곳 기준 3: 자신의 직업이 많은 곳 최초 랜딩은 기준 1 과 기준 2 를 기준으..

미주/미국 2023.04.06

미국이민 3년차, 캐나다 역이민에 완전공감하는 이유

미국이민 3년차, 캐나다 역이민에 완전공감하는 이유 캐나다 역이민하는 유튜버 [미국일상] 캐나다 역이민: 완전공감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유튜브로 이민 및 역이민을 주요 키워드로 보다가 발견한 캐나다 역이민 케이스 입니다. 캐나다 이민을 실행한 40대 가장이면서, 두 아이의 가장인 유튜버가, 한국 대기업 근무 및 캐나다 현지업체 근무를 수행했던 치공학 엔지니어의 케이스이었네요 40대 가장, 캐나다 역이민 이유 5가지자신이 제작한 유튜브에서 설명한 역이민 이유는 5가지 정도로 정리했네요. 1) 네이티브 영어의 한계 영어를 캐나다 현지에 10-20년 살더라도 네이티브 수준으로 할 수 없다. 2) 현지 네트워크의 한계한국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과의 단절 이후, 캐나다에서도 그런 친구를 만드는 것이 힘들다...

미주/미국 2022.09.09

미국이민 기준으로 한국은 선진국 수준

미국이민 기준으로 한국은 선진국 수준 미국이민 US Immigration [미국지식] 미국 이민기준, 한국은 선진국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한국 해외 이민 숫자 통계를 확인해 보면 2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네요. 한국, 해외이민 통계: 최고 46,533명 (1996) vs 최저 1,443명 (2017)한국 해외이주자 숫자 기준으로, 최고 이민 기록은 1996년 46,533명으로 최고치 이고, 최저 이민 기록은 2017년 1,443명으로 최저치 이네요. 수십년간 매년 2만명 이상을 기록하던 해외 이민이 2013년 1만명 이하로 내려온 이후, 아직까지 1만명 이상을 기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일단, 한국정부 통계 기준으로 2010년 이후에는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해외로 이주하는 이민자는 ..

미주/미국 2022.08.21

미국이민: 미국 영주권 프로세스는 2-4년 소요

미국이민: 미국 영주권 프로세스는 2-4년 소요  미국 이민의 최종: 미국 영주권 US Green Card [이민] 미국이민: 영주권 후기 (3)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미국에 살기 위해 필요한 절대카드가 무엇일까요? 미국에서 취업이나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일명 그린카드로 불리는 영주권이 필요합니다. 미국비자 영주권 프로세스, 3년반 소요 미국에 관광비자로 90일까지 체류가 가능하고, 유학비자 (F1)로 공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게 가능합니다.하지만, 미국에서 취업을 하기 위한 취업비자 (H1B) 또는 영주권 (E1/E2/NIW)을 받는 것을 상당히 어렵지요. 미국 이민을 추진해서 거의 3년이 넘어서, 2018년 1월 이민비자 승인을 받고, 이어서 7월 가족들이 모두 광화문 미국대사관에 인터뷰를 ..

미주/미국 2021.08.08

미국 이민의 기본: 미국 영주권 받는 대표 루트 TOP3 **

미국 이민의 기본: 미국 영주권 받는 대표 루트 TOP3  미국 영주권: 미국, 나도 가서 살아보고 싶다  [미국일상] 미국이민: 영주권 후기 (1)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미국에서 생활하고 싶다고 생각한 지는 거의 20년이 넘었던 것 같고, 결혼하기 전부터 미국유학을 생각해서 토플준비도 하고 미국대학 등록금 및 생활비에 대해서 항상 알아보았던 것 같습니다. 이후로 결혼해서 아이가 생긴 이후에도, 다시 사표를 내고 미국 MBA 공부하는 것을 준비하고, 집을 팔아서 투자하는 것  대비 ROI 계산한 결과로 바로 포기할 수밖에 없었지요. 시간이 20여년이 지나서 아이들이 대학생, 고등학생이 되어가고, 제가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되는 시점에, 다시 미국이민을..

미주/미국 2021.08.08
728x90